개발/정리

소켓, SQL, JDBC, 스프링 개념정리

Julybug 2021. 6. 28. 23:29
반응형

 

소켓 (Socket)이란,

프로그램 간 통신의 종착점

프로그램이 연결부 데이터를 통신함 따라서 통신 할 두 프로그램 (Client, Server) 모두에 소켓이 생성 되야함

서버는 특정 포트와 소켓(서버 소켓)을 가지고 컴퓨터 위에서 동작함

이 서버는 소켓을 통해 Cilent 측 소켓의 연결 요청이있을 때까지 기다림(listening라고 표현)

올바른 포트로 들어 와있을경우 연결 요청오면 서버 소켓이 허락을하여 소켓에서 연결할 수있는 통로가 되는 것

 

 

 

 

 

SQL이란,(Structured Query Language)

RDBMS의 표준 언어
SQL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고 테이블에 레코드를 조회, 삽입, 갱신, 삭제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권한을 컨트롤

 

 

 

 

 

JDBC란,

(Java database connectivity) =통역자

자바 프로그램 안에서 SQL을 실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주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응용프로그램과 DBMS간의 통신을 중간에서 번역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SQL문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 라이브러리

응용프로그램          >>         JDBC 인터페이스,JDBC 드라이버       >>      DBMS(데이터모임)

 

 

 

 

컬렉션프레임워크
List 인터페이스, Set 인터페이스, Map 인터페이스

List 인터페이스 > 배열과 같이 인덱스를 지정하여 값을 얻거나 설정하고 싶을 때 

​Set 인터페이스 >요소에 값의 중복이 없는 경우, 검색/정렬을 실행하고 싶을 때​

Map 인터페이스 >을 나누어서 요소를 구분하고 싶을 때

 

 

 

 

 

Spring Framework란,

스프링 프레임워크(간단히 스프링)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경량 컨테이너로 자바 객체를 담고 직접 관리객체의 생성 및 소멸 그리고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언제든 Spring 컨테이너로 부터 필요한 객체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Spirng이 IOC 기반의 Framework임을 의미합니다.

 

 

 

 

 

IOC란,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기존 사용자가 모든 작업을 제어하던 것을 특별한 객체에 모든 것을 위임하여 객체의 생성부터 생명주기 등

모든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넘어 간 것을 IOC, 제어의 역전 이라고 합니다.

 

 

 

 

JSP란,

자바 서버 페이지(JavaServer Pages)

 


 HTML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에 돌려주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이다. Java EE 스펙 중 일부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한다.

자바 서버 페이지는 실행시에는 자바 서블릿으로 변환된 후 실행되므로 서블릿과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서블릿과는 달리 HTML 표준에 따라 작성되므로 웹 디자인하기에 편리. 

아파치 스트럿츠나 자카르타 프로젝트의 JSTL 등의 JSP 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바 코딩없이 태그만으로 간략히 기술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JSP는 서블릿의 사용을 통해 웹페이지의 내용이나 모양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 요청> JSP의 실행을 요구> JSP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서블릿 원시코드로 변환> 그 후에 서블릿 원시코드는 바로 컴파일된 후 실행> 결과를 HTML 형태로 클라이언트에 돌려준다

 

 

 

 

 

 

 

 

 

톰캣이란,


아파치 소프트웨어 파운데이션(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서버인 자바(Java)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개발한 AP서버.

웹서버에서 서블릿(servlet), JSP, 빈즈와 같은 자바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톰캣 같은 자바를 이해하는 엔진이 있어야 한다. 비용이나 성능면에서는 자바 기반 웹서버를 구성할 때 리눅스(Linux), 아파치, 톰캣 조합을 많이 사용한다.

웹프로그램은 순수한 프로그램 언어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언어인 HTML이 혼용되었는데, 톰캣은 자바 파일만 해석할 수 있다. HTML과 혼용된 경우 컴파일 과정을 거친다. 

JSP페이지는 서블릿 형태로 일단 변형되어 완벽한 자바 파일로 변형된 뒤 컴파일된다.

 

 

 

 

 

기본키

하나의 테이블내에서 고유한 행을 선택할수있음

외래키

외래키는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값을 참조할 때,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

외래키의 선언
  foreign key(현재 테이블 컬럼) references tb_user(참조할 테이블 컬럼)

 

 

 

자바스크립트

앵귤러(Angular), 구글

리액트(React), 페이스북

(Vue) 윤리적인 프레임워크

 

 

 

 

데몬이란,

주기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그램

디먼은 수집된 요구들을 또다른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들이 처리할 수 있도록 적절히 전달

 

 

 

 

더보기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고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구글클라우드플랫폼(GCP)

구름IDE

 

반응형

'개발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환경구축  (0) 2021.06.29
0628 숙제  (0) 2021.06.28
SQL , 오라클 , 정의어 DDL, DML, DCL 개념 정리  (0) 2021.06.28
데이터 베이스  (0) 2021.06.28
구구단 (반복문의 중첩/for문)  (0) 2021.06.26